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소공녀 줄거리, 등장인물, 주인공 심리 분석

 

 

 

1. 소공녀 줄거리

 

가정도우미로 일하고 있는 미소는 새해가 되자 집세가 오르자 고민에 빠집니다. 물가가 오르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담배와 하루에 한잔 마시는 위스키의 값도 올라갔기 때문입니다. 집주인은 미소에게 월세를 올려달라고 말합니다. 새해가 되어도 자신의 월급은 똑같은데 모든 물가가 올라가는 상황에 미소는 고민에 빠집니다. 결국 자신이 좋아하는 위스키와 담배를 포기해야 하나 생각하지만 그 두 가지는 절대로 포기할 수 없습니다. 결국 고민 끝에 미소는 월세 낼 돈으로 차라리 위스키와 담배를 사겠다고 다짐하며 집을 나옵니다. 그리고 집이 없는 미소는 그때부터 자신의 예전 친구들을 만나 하루살이처럼 친구들에게 빌붙어 살아가려고 합니다. 미소는 자유로운 영혼답게 친구들과 함께 친구들의 집에서 살아가려고 하지만 친구들은 미소를 반기는 사람도 있었지만 반기지 않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이미 모두가 30대 중반이 된 나이라 자신의 상황에 따라 다들 다른 현실을 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한편 미소의 남자친구인 한솔은 음악가가 꿈입니다. 하지만 계속되는 생활고에 쫓겨 자신의 꿈을 포기합니다. 그리고 해외로 나가 직장에 취직하려고 합니다. 미소는 한솔이 음악을 포기하려 하자 강하게 반대하지만 한솔은 더 이상 생활고에 쫓기기 싫습니다. 결국 미소의 주변사람 중에 유일하게 현실에 타협하지 않았던 남자친구 한솔마저도 꿈을 포기한 채로 미소의 곁을 떠납니다. 그렇게 혼자 남은 미소는 친구들의 집을 돌아다니며 하루살이처럼 살아가지만 친구들은 이런 미소를 한심하게 바라봅니다. 결국 미소는 친구들의 집을 돌아다니다 자신의 집을 얻으려 하지만 돈이 없어서 그것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결국 미소는 강 주변에 텐트를 치고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위스키와 담배는 끊지 않습니다. 

 

 

2. 등장인물

 

미소 : 집세를 내지 못해서 유목생활을 하면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포기하지 않는 독립적인 캐릭터입니다. 30대 중반의 나이에 친구들과 남자친구마저도 현실에 타협하며 살아가지만 미소는 현실에 타협하지 않습니다. 그 결과 친구들의 집을 돌아다니며 살아가다 결국 노숙까지도 하게 되지만 그래도 결코 자신이 좋아하는 것들을 포기하지는 않습니다. 

 

한솔 : 미소의 남자친구이자, 음악가가 꿈인 청년입니다. 미소와 함께 현실에 타협하지 않고 살아가다가 끝내는 현실에 타협하는 인물입니다. 자신의 꿈인 음악가를 포기하고 해외에 나가서 취업을 하면서 미소와 떨어져 생활하게 됩니다. 

 

 

3. 주인공 심리 분석

 

미소의 성격은 단순함을 통한 행복 추구에 대한 매혹적인 연구입니다. 성공이 종종 물질적 부와 사회적 지위에 의해 측정되는 세계에서 미소는 이러한 규범을 무시하는 것으로 두드러집니다. 담배, 위스키, 남자친구에 대한 사랑과 같은 그녀의 단순한 기쁨은 그녀의 불안정한 재정 상황에도 불구하고 행복을 구성합니다. 감독의 미소 묘사는 시청자에게 행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재고하도록 도전합니다. 그것은 미니멀리즘과 작은 즐거움에 대한 감사가 어떻게 충족된 삶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심리적 탐구입니다. 이러한 관점은 영화 전반에 걸쳐 미소의 결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특히 노숙에 직면했을 때에도 작은 기쁨을 포기하기를 거부합니다. 미소의 심리적 구성의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회복력과 적응력입니다. 주택의 손실과 단순한 즐거움의 증가하는 비용에 직면한 미소는 자율성을 희생하기보다 아파트를 떠나는 것을 선택합니다. 이 결정은 옛 친구들을 방문하는 여정의 시작을 나타내며, 각 만남은 그녀의 성격과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적응력의 측면을 드러냅니다. 감독은 이러한 방문을 통해 미소의 회복력을 탐색하고 역경 속에서도 자신의 감각과 행복을 유지할 수 있는 그녀의 능력을 보여줍니다. 이 회복력은 그녀의 힘과 자신의 가치와 일치하지 않는 사회적 기대에 따르기를 거부하는 심리적 증거입니다.  미소의 강한 독립심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하비타트"는 고립과 연결이라는 주제들도 탐구합니다. 그녀가 친구들을 방문하면서, 그녀의 생활 방식과 그들의 생활 방식의 극명한 대조는 개인적인 행복보다 물질적인 성공을 중요시하는 사회에서의 그녀의 고립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들은 또한 깊은 연결감과 진정한 관계에 대한 갈망을 드러냅니다. 감독은 그녀의 자율성에 대한 열망과 연결에 대한 욕구 사이의 미소의 내적인 투쟁을 능숙하게 탐색하면서, 고독에 만족하고 더 깊은 유대감을 갈망하는 인물의 복잡한 심리적 초상화를 제시합니다. 이러한 이중성은 미소의 성격과 영화 내내 그녀의 여정을 이해하는 데 중심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