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1987 줄거리, 캐릭터 정보, 해외 반응

 

 

(1) 영화 1987 줄거리

 

1987년, 대한민국은 계엄령 하에 있었습니다. 군사정권으로 권력을 잡은 정부에 대한 국민들이 정당한 시위를 일으킨 것입니다.  전국적인 시위가 일어나면서 사람들은 정부에 민주화를 요구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의 한 대학에서는 대학생들이 계엄령에 반대하며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대학생들은 전두환 정권에 맞서 민주화를 부르짖었지만 돌아오는 건 정부의 엄격한 통제뿐입니다.

 

사건의 발단은 박종철이라는 대학생이 시위에 참여했다는 이유만으로 경찰에게 고문을 받다가 죽게 됩니다. 갑자기 박종철이 죽자 정부에서는 박종철의 죽음을 숨깁니다. 박종철이 고문을 받다가 죽었다는 흔적을 없애기 위해서  정부의 고위 관계자였던 박처장의 주도하에 경찰은 시체를 빨리 태워서 없애려고 합니다.  하지만 박종철의 죽던 날 남아서 업무처리를 하고 있던 최검사는 박종철의 시체 부검을 의뢰합니다.

 

정부에서는 박종철의 죽음을 단순 쇼크사로 결론지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 남은 고문 흔적들과 시체 부검결과에 의문점을 가지던 윤기자는 박종철의 죽음이 단순쇼크사가 아니고, 경찰의 고문 때문에 박종철이 죽었다고 언론을 통해 발표합니다. 사건이 점점 커지자, 박처장은 일부 경찰들이 고문을 해서 박종철이 사망한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사건을 마무리하려 합니다.

 

한편, 교도관 한병용은 박종철의 사건을 전해 듣고 이 사실을 수배 중인 김정남에게 전하려 합니다.  한병용은 조카 연희에게 심부름을 시키며 김정남에게 박종철의 사망 소식을 전해달라고 부탁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병용을 의심스럽게 생각하던 경찰들이 한병용을 잡아 고문을 합니다. 박종철의 사건을 누구에게 전했냐고 협박하며, 빨리 말하지 않으면 한병용의 가족들을 모두 죽이겠다고 협박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박종철의 사건으로 경찰들이 구속되고 박처장 역시 구속되면서 영화는 끝납니다. 

 

이 영화는 1987년을 살다 간 그 시절의 시민들의 이야기를 실감 나게 다루고 있습니다. 1987의 평점은 5점 만점에 3.9점입니다. 

 

 

(2) 캐릭터 정보 (등장인물)

 

박처장 : 박처장은 전두환 대통령의 신임을 받고 있는 인물입니다. 자신의 권력을 이용하여 민주화 운동을 하는 시민들과 대학생들을 모두 잡아서 고문합니다. 고문 도중 박종철이 죽게되자 거짓으로 그의 죽음을 숨기려 합니다. 성격은 치밀하고, 이기적이며 자신의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어린시절 북한에서 넘어온 간첩이 자신의 가족들을 모두 죽입니다. 그에 대한 충격으로 간첩을 잡는다는 명목으로 일반 시민들을 죽이는 것에 아무런 죄책감이 없습니다. 
 
윤기자 : 윤기자는 박종철의 죽음을 세상에 알린 인물입니다. 박종철의 죽음을 세상에 알리면 자신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세상에 공개합니다. 윤기자의 성격은 정의로운 성격입니다.
 
연희 : 연희는 교도관인 한병용의 조카입니다. 대학생이지만 민주화 운동에는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하지만 삼촌인 한병용이 박종철의 사건때문에 경찰에 잡혀가게 되자 그제서야 정부의 폭력에 부당함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던 대학생 이한열이 시위를 하다 군인의 총에 맞아 죽게되자, 시민들과 함께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게 되는 인물입니다.
 
최검사 : 박종철의 시신을 태워서 없애라는 박처장의 지시를 무시한 채, 박종철의 시체를 부검하는 인물입니다. 최검사의 결단은 박종철 사건을 세상에 알리는데 가장 큰 역할을 했습니다. 
 
한병용 : 한병용은 교도관으로 근무중입니다. 근무 도중에 박종철의 사건을 전해듣게 되자 이 사실을 김정남에게 전하려는 계획을 세웁니다. 하지만 경찰에게 들키게되자 한병용 역시 잡혀가 고문을 받게 됩니다.

 

 

(3) 해외 반응

 

(1) [민주주의를 위해서 많은 사람들의 희생이 있었다는 점이 굉장히 인상적인 영화였습니다. 한국의 1987년에 이렇게 야만적인 일이 벌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이 그저 놀라울 뿐입니다. 한국은 작은 나라지만 한국시민들은 결코 작지 않았습니다. 많은 시민들의 민주화를 위한 목숨 건 투쟁과 희생에 박수를 보냅니다.]

 

(2) [만약 1987년대에 한국인들의 민주화를 위한 움직임이 없었다면? 지금의 민주주의 국가인 한국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더불어 해외에서 한국의 노래를 듣는 일도, 한국의 드라마를 감상하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지금의 자유롭고 민주적인 한국을 만들기 위해 많은 사람들의 희생이 있었다는 것이 감동적으로 다가왔다.]

 

(3) [영화배우들의 연기, 감독의 연출등 무엇하나 빼놓을 수 없을 만큼 훌륭한 영화였다. 개인적으로 한국이라는 나라에 관심이 매우 많아서 한국의 역사에 대해서도 궁금했었는데 이 영화를 통하여 한국의 역사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한국은 단시간 내에 민주주의를 이룬 대단한 나라인 것 같다.]

 

 

반응형